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아동 행동에 대한 자료 수집_관찰법(행동목록법, 평정척도법)

by 죤스 2022. 8. 16.
반응형

(4) 행동목록법

 

행동목록법은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의 목록을 준비하고 정해진 관찰시간 동안 목록 에 있는 행동이 나타났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세밀하게 준비 된 목록에 의거하여 발생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관찰자의 주관적 평가 를 가능한 배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 방법은 사건이나 행동의 발생 여부에만 관 심이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행동목록은 세세한 행동특징들로 길게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목 간 상호배타성과 논리적 배열을 하여 관찰행동을 표시할 때 인지적 부담을 줄이고 오류 가 없어야 한다. 행동목록에 포함되는 문항은 가능한 모호하지 않고 명백하며 관찰 가능한 구체적인 행동으로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가령, '분류개념을 가지고 있다. 문항은 너무 모호하여 주관적 판단이 이루어지므로 '색깔에 따라 사물을 분류한 스 있다. '모양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혹은 크기에 따라 사물을 분류할 수 있다' 등으로 분리하여 보다 명확하게 정의한다.

 

표3 행동목록법의 예

기본생활
이름: 
관찰일: 
문항 아니오
1. 자신의 옷과 가방을 스스로 정돈한다.    
2. 간식/식사 전에 손을 씻는다.     
3. 먹은 후 칫솔질을 스스로 한다.    
4. 친구와 교사를 만나면 인사를 한다.    
5. 고마워, 괜찮아, 미안해 등의 말을 적절히 쓴다.    
6. 쓰고 난 물건을 제자리에 놓는다. 이하 생략    

 

또한 행동목록은 관찰하려는 행동범위에 대해 가능한 포괄적이고 대표적인 목록 을 구성해야 하며, 문항 간 상호배타성이 뚜렷하여 관찰한 한 가지 행동에 대해 어느 목록에 표시하여야 하는지 모호함을 느끼지 않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그리고 행동 목록의 리스트는 일반적인 것부터 구체적인 것, 영역별 순서를 따른 것, 행동으로 나 타난 것과 언어로 표현된 것 등 가능한 한 순서가 있어 논리적으로 조직되어 있어야 한다.

 

(5) 평정척도법

 

평정척도법은 행동목록법과 마찬가지로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목록이 있을 때 사용 한다. 그러나 평정척도법은 어떤 행동의 발생 여부만 아니라 행동의 질적인 특성을 평가하여 점수로 부여하는 방법이므로 교사의 주관적 평가를 기초로 한다. 그러므 로 평정척도법은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의 질적인 차이를 평가하고자 할 때 연속성 있는 단계로 수량화된 점수로 평정한다.

평정척도에 표시할 때 교사는 아동행동에 대한 직접적 관찰, 과거의 관찰, 혹은 전 체적인 인상에 기초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이는 목표 행동에 가치나 특성을 할당하 는 행위이다. 이러한 이유로 행동목록법처럼 행동의 범주가 있지만 이것이 교사의 판단을 필요로 하는 보다 종합적이고 유추적인 특성일 경우가 많다.

평정척도는 관찰자의 판단이 요구되기 때문에 관찰자 개인의 편견이 개입될 소지가 있으며, 관찰자의 평정에 일정한 전문성이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편리하고 다량의 데이터를 쉽게 얻을 수 있어서 아동행동의 경향을 통계로 정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자료는 보육교육현장의 아동생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교실에 있는 유아 전체의 경향을 빠른 시간에 판단할 때 유용하다.

 

표 4 평정척도법 목록의 예

사회성 평정척도
이름: 
평정자:
문항 1
거의 그렇지 않다.
2
그렇지 않다.
3
그렇다.
4
매우 그렇다.
1. 친구와 교구를 나누어 쓴다.        
2. 친구가 다쳤을 때 위로해준다.        
3. 친구와 이야기를 나눈다.         
4. 친구와 공동놀이를 한다.        
5. 친구가 필요로 할 때 도와준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