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아동 행동에 대한 자료 수집_관찰법(일화기록)

by 죤스 2022. 8. 16.
반응형

2. 아동행동에 대한 자료수집

 

아동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수집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어떤 방법을 취하는 가는 그 보육교육기관의 상황마다, 교사마다 매우 다양하다. 아동행동의 평가는 결 과를 평가하기보다는 과정을 평가하는데 중점을 두며 과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의 자료수집방법에 의존하기보다는 다양한 접근으로 실행한다. (Cohen & Swerdlik, 20055)

 

1) 관찰법

관찰법은 아동행동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교사의 시각정보로 입수된 아동행동을 일정한 체계와 절차에 따라 기록하는 방법이다. 보육교육현장에서 관찰할 수 있는 아동행동은 매우 다양하다. 관찰을 시작할 때 가장 먼저 결정해야 하는 것은 어디서부터 관찰을 시작하여 어디까지 포괄할 것인가의 문제이다. 체계적인 관찰을 위해서 는 평가를 위한 계획을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찰법은 구체적인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세부적인 유형으로 구분되지만 그 절차에 있어서는 대체로 세 단계의 과정을 거친다. (김희진 박은혜 이지현, 2000)

첫째는 관찰한 것을 기록하는 단계이다. 기록은 관찰자 앞에서 일어나고 있는 장면을 가능한 한 자세하고 객관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해석으로, 해석은 눈앞에 보이는 것을 넘어서서 행동의 원인, 그 행동을 할 때의 감정을 추측해보고 기록한 자료의 의미를 찾아보는 과정이다.

세 번째 단계는 평가로서 축적된 관찰자료를 바탕으로 현 의 상태와 앞으로의 방향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단계이다.

 

관찰할 때 교사가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기록, 해석, 평가의 세 가지 요소를 분명히 구분하는 것이다. 기록은 그 장면에 있는 누구나 눈으로 볼 수 있고, 귀로 들을 수 있는 객관적이고 외현적인 정보만을 기록하는 것이고, 해석이나 평가는 반드시 객관적이고 충분한 관찰기록을 토대로 세심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1) 일화기록

일화기록은 보육교육현장에서 발생한 직접적으로 관찰된 사건을 요약한 간략한 이야기로 사건 발생 후에 기록하는 것이다. 여러 명의 영유아가 함께 생활하는 보육교육현장에서 관찰 직후 이를 상세히 일화로 기록하는 것은 여건이 허락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교사는 기록할만한 가치가 있는 사건을 기록한 후 주요 단어들을 짧게 기록해두고 낮잠시간이나 일과 후 기록된 주요 단어로 의미 있는 일 화기록으로 완성한다.

 

일화기록은 육하원칙을 바탕으로 그 장면에 있지 않았던 사람이 기록의 내용을 보고 그 장면을 그려볼 수 있도록 작성한다. 사건이 일어난 장소와 인적·물적 환경의 맥락, 발생사건에 대한 객관적이고 명료하며 간단한 요약, 영유아가 했던 말과 외 현적인 행동을 구체적으로 기록한다. 이를 위해 일화기록에서 행동을 기록할 때는 먼저 행동의 전반적인 측면이나 주요 행동을 적고, 주요 행동의 하위행동을 묘사한 후, 마지막으로 행동의 진행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한다.

아동이 했던 말은 그대로 인용부호(“”)를 사용하여 기록하며 아동의 언어표현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주요 단어를 기록할 때 아동의 언술을 적어놓는 것이 좋다. 가령, “이빨이 빠지려고 하면 쓰레기통에 대고 있어요? 이빨이 갑자기 뚝 떨어지면 어떡해요?” 와 같은 표현은 아동의 상상력이 성인과 다르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기록은 나중에 아동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흥미로운 일화로 아동에 대한 정보를 풍부하게 해준다. 일화기록에서는 여러 가지 행동을 모두 기록하기가 어려우므로 아동의 한 가지 행동만 초점을 맞추기도 한다. 이를 위해 피관찰자 아동의 말과 행동뿐 아니라 아동과 상 호작용하는 다른 유아나 교사의 말과 행동도 기록할 수 있다. 어떤 사건에 한 명 이상의 아동이 참여했고 이들이 모두 주요 인물인 경우에는 관련 아동의 기록에도 같은 일 화를 포함시켜 놓으면 유용하다. 일화기록이 아동생활지도의 자료로 사용하려면 그 아 동에 대한 계속적인 기록이 누적되어 이를 종합했을 경우에만 진단적 가치가 있으므로 동일한 아동에 대한 기록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표 1 일화기록 양식의 예

이름: 
일시: 
관찰 상황: 
생년월일:
장소: 
장면기록:  해석: 



교수전략: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