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행동 평가 자료의 종합
1) 다면적 평가자료의 수집
교사는 아동의 행동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실행하거나 포트 폴리오를 참조하기도 한다. 여기에는 앞에서 다룬 자료수집방법으로 얻어진 자료들 이 포함된다. (Burgess, 2005)
(1) 사례연구
사례연구는 다양한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문제의 발생원인과 조건을 규명하고 진단하며 개선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최지영, 2010 즉, 사례연구는 아동 개인과 그의 환경과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방법 으로 수집된 정보를 종합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사례연구를 하기 위해서 교사는 연 구하고자 하는 아동 개인의 문제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아동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수집하고 조직한다.
이를 위해 앞서 다룬 여러 가지 자료수집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교사는 이도 관해 수집된 모든 자료를 종합하고 요약하며 해결하기 위한 문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한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아동에 대해 종합적인 해석을 한다.
(2) 포트폴리오
포트폴리오는 아동 개인의 작업이나 작품을 모아둔 자료집이다. 교사는 이 포트폴리오의 자료를 토대로 아동의 행동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트폴리오에 모아놓을 자료는 아동발달 변화에 의미 있는 기록들로 한정된다. 하지만 교사가 생활지도를 위해 특정 아동의 행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포트폴리오 자료수집방법을 사용한다면 교사가 그 아동의 포트폴리오에 포함시킬 자료의 범위와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아동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목 적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고 자료수집을 하는 것이 좋다. 이 목적을 달성하였는지의 여부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 평가의 핵심이 되기 때문이다.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자료는 대개 양이 많기 때문에 자료에 대한 해석에 앞서 자료를 편집하고 요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교사는 이를 위해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과 범주를 설정한 후 이를 기준으로 자료 를 한 영역씩 요약한다. 자료 요약이 끝나면 이를 종합하여 해석한다.
2) 평가자료의 해석
교사는 아동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한 가지 혹은 여러 가지 다면적인 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종합하여 아동행동에 대해 총평을 내린다. 총평은 아동행동에 대한 총체적인 평가이다. 아동생활지도에서 총평은 아동이 가진 문제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의사결정을 위해서 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의사결정단계에서는 교수 계획, 행동 개선, 관계 증진, 판별, 의뢰 등 여러 가지 생활지도방법이 결정된다.
평가자료의 해석은 아동에 대해 알고 이해하는 과정의 최종 단계로써, 아동의 행동을 환경과의 상호작용 내에서 파악하여 이를 평가하고 자료수집을 위해 설정했던 가설을 점검하며 향후 생활지도를 위한 의사결정과정으로 연결된다. 생활지도를 위한 아동행동 평가자료의 해석은 아동행동을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아동이 적응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측면까지 포함한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권리의 내용 및 근거_생존권, 성장발달권, 시민권과 자유권, 양육보장권 (0) | 2022.08.17 |
---|---|
아동권리의 개념과 내용 (0) | 2022.08.17 |
아동 행동에 대한 자료 수집_검사법, 면접법 (0) | 2022.08.16 |
아동 행동에 대한 자료 수집_관찰법(행동목록법, 평정척도법) (0) | 2022.08.16 |
아동 행동에 대한 자료 수집_관찰법(시간표집법, 사건표집법) (0) | 2022.08.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