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교사의 전문성과 역할

by 죤스 2022. 8. 18.
반응형

3) 교사의 전문성과 역할

 

(1) 교사의 전문성

 

  교사의 행동지도방법이 복종적인 경우, 교사는 종종 미리 규칙을 정하고 이 규칙을 따르도록 비융통적인 방법으로 지도한다. 이런 교사는 전문적인 교사로서보다는 기술적인 교사로서 자신을 규정하는 것이다. 복종적인 생활지도방법은 교사인 유아 모두에게 비효과적이다. 발달에 적합한 효과적인 생활지도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전문성 있는 교사’가 되어야 한다. 다음은 기술적인 교사와 전문적인 교사의 차이점을 대비하여 제시하고 있다.

 

  첫째, 전문적인 교사는 상황을 평가하고 이를 참조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을 지도한다. 기술적인 교사는 규칙을 어겼는지 혹은 지켰는지에 집중하는 반면, 전문적인 교사는 매 상황을 고려하여 실제로 일어난 상황을 심도 있게 이해하려는 시도를 우선적으로 한다.

  둘째, 전문적인 교사는 유아가 경험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기술적인 면에 치중하는 교사는 문제상황을 빨리 종결짓는 데 초점을 두는 반면 전문적인 교사는 문제상황을 통해 유아가 무엇을 학습하도록 도울 것인가에 집중한다.

  셋째, 전문적인 교사는 일어난 상황을 판단한 다음 이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기초로 방안을 채택한다. 즉, 전문적인 교사는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을 시도하며 갈등을 해결하고 문제행동에 대처하는 대안행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반면 기술적인 교사는 유아의 특별한 문제행동에 대해 언제나 똑같은 체벌을 주는 것과 같이 비융통적인 방법으로 반응한다. 다시 말해 기술적인 교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해 체벌을 제공하는 반면 전문적인 교사는 유아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경력이 많은 교사일지라도 자신의 지도방법이 유아의 문제행동을 해결하는데 비효과적임을 인식할 때가 많다. 교사의 전문성이란 교사가 항상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지도방안을 찾아내지 못하더라도 유아들과 개별적으로 상호작용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것을 배우고 노력하는 열린 자세를 의미한다.

  효율적인 생활지도는 유아들에게 기대되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행동을 학습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유아가 스스로 생각해보고, 시도하며, 이런 과정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생활지도방법을 선택하여야 한다. 전문적인 교사의 지도방법으로 이루어지면서, 이러한 지도를 통해 교사의 전문성도 더욱 정교화된다.

 

(2) 교사의 역할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강조점은 조금씩 변화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아동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보호자로서의 역할과 교수자로서의 역할 두 가지가 있다.

  오늘날에는 유아교사의 다양한 역할이 강조되면서 의사결정자의 역할 및 연구자로서의 역할, 상담자로서의 역할 또한 중시된다. 아동의 정서적 문제나 사회적 문제와 같은 인성적 적응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교사가 자신의 역할에 대해 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는 아동의 학습을 지도할 뿐 아니라 아동의 부적응 행동을 지도하고 정신건강을 촉진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올바른 아동생활지도를 수행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은 다음과 같다. 

 

● 지지적 역할: 행동에 제한을 두고 통제하고 강요하는 역할보다는 지지하고 격려하는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아동이 열등감이나 불안정함을 느끼면 어떤 행동을 시도하는데 불안해 하며 겁을 먹고 위축되기 쉽다. 따라서 교사는 아동이 자신감 있게 행동하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 수용적 역할: 수용적 역할이란 지지적 역할과 마찬가지로 대상 아동을 받아들이고 따뜻하게 대하는 것이다. 교사는 아동을 거부하고 책망하기보다는 아동의 감정을 이해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입장에 서야 한다.

 

● 치료적 역할:  치료자는 원인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문제행동이 일어난 원인을 규명하기보다는 행동결과에만 관심을 두고 이를 방지하는 데 힘쓰는 경향이 있다. 아동이 저지른 잘못에만 주목하여 그 원인이 무엇인가에 대해서 고려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그러나 교사는 아동의 문제를 분석하고 진단하여 그 원인을 발견하고 지도방안을 모색하는 일에 힘써야 한다. 이것은 치료자의 역할이 아니다.

 

● 긍정적 역할: 교사는 대상 아동의 문제행동 때문에 이들을 부정적으로 대할 것이 아니라 하나의 인간으로서 성장 발달할 수 있는 존재로 보아야 한다. 인간은 누구나 자기를 개선하고 성장하려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개개인의 발달과 성장의 가능성을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입장에서 대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