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평가

by 죤스 2022. 9. 15.
반응형

4.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평가

 

  영유아 생활지도의 평가는 보육교육기관에서 목표로 설정한 생활지도의 내용이 얼마나 달성되었는지 알아보고 향후 생활지도를 위해 무엇을 개선하는 것이 좋을지 판단하는 과정이다. 교사는 자신이 수행한 생활지도의 내용을 평가할 때 다음 사항을 염두해 둘 필요가 있다. (Sherr, Skar, Clucas, Tetzchner, & Hundeide, 2011)

 

•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의 행동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의 또래 간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와 교사 간의 관계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의 발달은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가?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의 행동은 개선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을 수도 있고, 악화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을 수도 있다. 또한 행동의 변화가 단기간에 나타났다가 사라졌을 수도 있고 지속적일 수도 있다. 교사는 자신이 구사한 생활지도 기법의 성공적인 측면과 그렇지 않은 측면을 평가하고 보완하는 과정을 지속적으로 전개하여야 한다. 교사는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의 특정 행동에 대한 자신의 인식과 태도가 바

람직하게 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생활지도를 통해 자기효율성이 높아지고, 영유아의 행동에 대한 좌절감이나 분노, 실망감과 같은 교사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보다 건설적으도, 다루어낼 수 있도록 변화한다. 교사는 생활지도의 결과 영유아 발달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평가 받아보도록 하기 위해 영유아를 직접 관찰할 수도 있고, 검사를 받아보도록 권유할 수도 있고, 부모의 보고를 받아볼 수도 있다. 혹은 보육기관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발달검사나 심리검사를 진행해볼 수도 있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