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민주적인 분위기 조성자로서의 교사
(1) 민주적 생활방식의 강조
교사는 ‘생활지도’를 영유아에게 민주적인 생활방식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하고 교실의 분위기를 이에 적합하게 조성하여야 한다. 훈육을 강조하는 교사로부터 꾸짖음이나 처벌을 받게 되면 영유아는 훈육을 ‘비난받고 수치심을 느끼게 되는 것’으로 여기기 쉽다.
한 명을 따로 불러내거나, 혼내거나, 타임아웃을 하는 등의 당혹감을 불러일으키는 훈육을 하게 되면 영유아는 자신을 집단에서 환영받지 못하고 가치 없는 존재로 여기게 된다. 생활지도의 목적은 영유아에게 건강한 개인이 되고 생산적인 시민이 되는데 필요한 민주적인 생활방식을 가르치는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방식으로 강한 정서를 표현하는 기술,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과 생산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현명하고 도덕적인 의사결정능력을 발달시킴으로써 영유아는 자존감을 높이고 사회적 유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교사는 교실의 운영 전반에서 민주적인 특성을 발휘하도록 서로를 인격적으로 존중하고 예절을 지킴으 로써 교실 전체에서 교사와 영유아 간에 민주적인 생활방식을 체화하도록 한다.
(2) 교실의 분위기 조성
교사는 모든 영유아가 구성원으로서의 참여를 환영받는다고 느끼도록 격려하는 교실 분위기를 만들고 유지해야 한다. 격려하는 보육실 분위기란 영유아가 기분이 좋을 때 머물고 싶고 놀고 싶은 곳이 아니라, 몸이 아프거나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있고 싶어 하는 곳이라 볼 수 있다.
교사는 영유아와 신뢰관계를 수립함으로써 영유아가 스스로 가치 있는 존재라고 느끼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발달시키며, 세상에 대항하는 행동을 할 필요를 덜 느끼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영유아 개개인의 특성을 인정해주고 영유아가 과제를 마친 후에 칭찬하기보다는 배우는 과정을 인정해주는 태도를 취하도록 한다. 또한 교사는 타임아웃과 같은 전통적인 훈육방법보다는 포괄적인 생활지도, 대화를 통한 생활지도의 기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보육실의 분위기를 중시하는 교사는 부모와 협력적인 관계를 구축한다.
교사는 부모가 일상생활에서 모델로서의 모범을 보일 수 있도록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바람직한 생활지도 방법을 이해시키려 노력한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정에서의 생활지도_ 유아의 자조기술 익히기 (0) | 2022.09.15 |
---|---|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평가 (0) | 2022.09.15 |
아동생활지도를 위한 교사의 역할 (0) | 2022.09.15 |
보육교육기관의 생활지도 실제_ 바람직한 사회정서적 기술 가르치기 (0) | 2022.08.28 |
보육교육기관의 생활지도 실제_ 예방을 위한 교실환경의 조정 (0) | 2022.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