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영유아 생활지도의 이론적 모델
근래 발달적으로 적합한 생활지도를 주장하는 학자와 전문가들은 영유아의 사회적 역량을 키우고,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4단계 피라미드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Csefel, 2012) 이 모델의 이론적 토대는 영유아를 위한 생활지도에서는 영유아의 사회정서적 발달을 증진시키고, 이들의 적합한 행동을 지원해주며, 환경의 조정을 통해 문제행동을 미연에 예방하는 것을 강조하는 데 있다.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생활지도에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번째 토대는 영유아와 교사 간에 긍정적인 신뢰관계를 수립하는 것이다. 이는 영유아가 자신의 사회정서발달을 이루고 적합한 행동양식을 배워나가는 데 가장 기본적인 토대가 된다.
두 번째 단계는 영유아의 문제행동이 가능한 나타나지 않도록 교실의 물리적·인적 환경을 조절하는 것이다. 영유아에게서 빈번히 나타나는 전형적인 문제행동들은 환경의 조정과 우수한 교수전략으로 대부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영유아가 구사하기 적합하고 바람직한 기법을 상황에 맞게 가르쳐주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첫 단계부터 세 번째 단계까지의 노력을 통해 영유아 문제행동의 대부분은 개선되거나 줄어든다고 한다. 네 번째 단계는 이상의 생활지도를 통해 개선되기 어려운 행동문제를 집중적으로 중재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보육교육기관의 교사 역할만으로는 수행하기 어렵고 가족의 이해와 협조, 전문가의 개입과 교사의 지원 등 개별 영유아에 대한 주변환경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비로소 달성할 수 있다. 연구마다 상이하지만 통상 영유아 행동문제의 약 10~15% 정도는 네 번째 단계의 방법으로 해소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Fox & Lentini, 2006)
그림1 영유아 생활지도의 피라미드 모델
자료: The Center on the Social and Emotional Foundations for Early Learning.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교육기관의 생활지도 실제_ 예방을 위한 교실환경의 조정 (0) | 2022.08.28 |
---|---|
보육교육기관의 생활지도 실제_ 긍정적 관계의 수립 (0) | 2022.08.28 |
영유아 생활지도의 목표 (0) | 2022.08.28 |
보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원리 (0) | 2022.08.28 |
가정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 (0) | 2022.08.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