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보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원리

by 죤스 2022. 8. 28.
반응형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1.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 원리

 

1) 영유아 생활지도의 개념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는 영유아가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실수나 문제행동을 처벌받기보다는 이를 통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접근방법으로 정의한다. 보육교육기관에서의 생활지도란 영유아가 기관에서 하루일과를 지내면서 갈등이나 좌절, 불안 등 여러가지 어려운 순간에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들을 적절히 다루어내고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하거나 바람직한 행동으로 자신의 요구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유아 생활지도의 개념에서 가장 강조해야 하는 단어는 '지도(guidance)’이다. 지도는 훈육(discipline)이나 훈련(training)과 달리 영유아를 이끌어주고, 안내하고, 지도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즉 ‘지도’는 보육교육기관 커리큘럼 운영에서의 중요한 방법 중 한 가지로 기능한다. (이은해 외, 2008)

 

  전통적인 훈육과 달리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의 실제는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 다. “교사는 아동에게 긍정적인 생활지도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영유아에게 사회적 기술, 자기통제, 자기조절의 발달을 촉진시킨다. 즉, 교사는 기대되는 행동의 모델이 되고, 기대되는 행동을 하도록 격려해주며, 영유아가 좀 더 수용 가능한 행동을 하도록 방향을 재설정해주고, 행동의 한계를 분명히 해주며, 수용될 수 없고 해를 끼치는 행동의 결과를 강조하기 위해 중재방법을 적용한다. 교사의 기대는 영유아의 발달하는 능력을 존중하는 데 둔다. 교사는 사소한 위반행위에 전부 반응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인내심을 갖게 된다.” (Bredekamp & Copple, 1997, p. 129)

 

  이와 비교하여 부적합한 교수의 실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교사는 수용될 수 없는 행동을 벌하고, 잘못한 아동을 나무라며, 잘못 행동하는 영유아를 야단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낸다. 교사는 분명한 한계를 설정하지 않고, 수용가능한 행동기준에 대한 책임을 영유아에게 부여하지 않는다. 환경은 무질서하고, 교사는 영유아가 집단행동에서 중요한 규칙과 책임을 정하고 이를 학습하도록 도와주지 않는다.” (Bredekamp & Copple, 1997, p.129)

 

  1980년대부터 영유아를 지원하는 전문가들은 복종을 강요하는 전통적인 훈육방 버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보육교육기관에서는 전통적인 훈육 방법의 문 계정을 이해하고 근래 지지되고 있는 '발달적으로 적합한 생활지도의 특성을 파악 하여 발달적으로 적합한 생활지도와 발달적으로 부적합한 생활지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고민하고 논의해볼 필요가 있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