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보육교육기관의 생활지도 실제_ 예방을 위한 교실환경의 조정

by 죤스 2022. 8. 28.
반응형

2) 예방을 위한 교실환경의 조정

 

  교사는 영유아 생활지도를 위해 먼저 교실환경의 조정을 통해 생활지도의 목표 내용을 일부 달성하도록 한다. 이때 환경의 조정은 영유아가 또래와 보다 긍정적인 사회관계를 경험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물리적 환경, 또래와의 사회적 환경, 하루 일과, 활동, 교재교구 등과 같은 영유아의 환경을 변화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Center on the Social and Emotional Foundations for Early Learning, 2008) 문제행동의 예방을 위한 환경조정의 주요 내용과 원리는 사실 우수한 교사의 교수방법과 원리에서 강조되는 요소와 흡사하다. 즉, 우수한 보육교육의 실제를 행하게 되면 그 교실의 생활지도가 자연스럽게 성취될 수 있다.

 

(1) 물리적 환경의 조정

 

  우수한 보육교육의 실제는 교실의 물리적 환경을 흥미영역별로 구성하고 흥미영역별로 주제와 연관된 교재교구를 발달적으로 적합한 방식으로 비치할 것을 강조한다. 교사는 교실의 물리적 환경이 영유아의 연령별 특성에 적합한 흥미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각 흥미영역에 비치된 교재교구의 내용과 수준은 영유아의 발달특성과 흥미에 적합한 것인지 점검하고, 조정이 필요한 부분은 적합하게 바뀔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교실별 흥미영역의 수가 보육실의 크기나 영유아의 요구이 구성되도록 한다. 흥미영역이 지나치게 많으면 공간이 비좁아지기 때문에 영유아간의 불필요한 신체접촉이 많아질 수 있으며 이는 상대에 대한 부정적인 행동표현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반대로 흥미영역이 지나치게 적으면 한 영역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영유아의 수가 너무 많아져 개별 영유아가 충분히 놀이에 몰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교실의 바닥에 선으로 둘러진 공간은 영유아의 행동을 안내해주는 기능을 한다. 가령 화장실 앞의 바닥에 한 줄로 붙여진 발바닥 모양의 스티커는 앞에 여러 명이 함께 있을 때는 한 줄로 서서 기다리기로 하는 규칙을 암시해준다. 

  혹은 음률영역의 바닥에 커다란 타원형으로 선을 붙여놓았을 경우 유아는 또래와 함께 리듬악기를 두드리면서 원을 따라 움직이는 놀이를 할 수 있다. 유아는 서로 리듬악기를 차지하여 연주하고자 경쟁을 하는 대신 또래들과의 음률 및 동작 놀이로 자연스럽게 놀이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문제행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2) 집단구성의 조정

 

  교사는 하루일과를 운영하면서 필요에 따라 영유아의 집단구성을 적절히 조절해줌으로써 다툼과 같은 문제행동을 예방할 수 있다. 유아끼리 소집단을 구성할 때는 사회적으로 유능한 유아와 사회적 유능성이 낮은 유아를 한 집단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수줍어하는 유아와 활동적이며 적극적인 유아를 같은 집단으로 모아주는 것도 좋다. 사회적 유능성이 부족한 영유아일수록 사회적 유능성이 높은 또래와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 영유아가 서로 이질적인 또래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바람직한 행동방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는 개별 영유아가 할 수 있는 활동, 소집단이 함께 진행하기에 적합한 활동, 짧은 시간 동안 대집단으로 할 수 있는 활동을 다양하게 준비할 필요가 있다. 교사는 한 홍미영역에서 동시에 활동하기에 적합한 영유아의 수를 미세하게 조정해봄으로써 해당 보육실의 상황에 적합한 집단구성 방법을 모색하는 등의 방식으로 영유아가 또래와 경험하는 사회적 환경을 조정해줄 수 있다.

 

(3) 하루 일과의 조정

 

  교사는 보육실의 하루 일과를 일관성 있게 진행함으로써 균형적인 하루 일과가 영유아의 생활지도를 위한 바람직한 환경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규칙적인 일과를 통해 영유아는 시간에 대한 예측을 할 수 있고 심리적으로 편안하게 일과에 적응할 수 있다. 다음에 진행되는 일과가 무엇인지, 언제쯤 무엇이 시작될 것인지 예측할 수 있게 되면 영유아는 신체적·심리적으로도 규칙성을 갖게 되고 무료해하지 않고 활동에 몰입할 수 있다.

  오후 일과에 진행되는 낮잠 시간은 영유아로 하여금 휴식을 통해 피로를 풀고 원 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교사는 교실의 하루 일과를 규칙적이고 일관성이 있게 운영하되 간혹 영유아의 요구나 상황에 따라 바꾸어 운영할 수 있다.

 

(4) 활동 및 교재교구의 조정

 

  교사는 자신이 담당한 교실 내 영유아의 발달수준과 개별 특성에 맞도록 풍부한 활동을 준비하고 적합한 교재교구를 함께 제시한다. 교사가 제시하려는 활동이 영유아의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내고 영유아가 즐겁고 진지하게 놀이에 몰두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활동을 전개할 때 사용하는 흥미영역별 교재교구가 영유아의 다툼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비치되어 교재교구의 수보다 많은 수의 영유아가 이를 원하여 다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교사는 자신이 담당한 교실의 교재교구를 주기적으로 바꾸어주어야 한다. 보육실의 영유아가 그 새로움에 적절한 흥미를 갖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교사는 영유아에게 제시하는 교재교구의 배치방법이나 지원방법이 적절한지 살펴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는 누워서 자기 몸 그려보기 활동과 같이 유아 간에 긍정적인 협력과 자원의 공유가 일어날 수 있는 교재교구(누워 있는 유아의 몸 둘레를 그릴 수 있는 큰 종이 등을 배치하는)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사는 활동의 내용이나 진행방법을 약간 조정해줌으로써 영유아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혼자서 책을 읽게 하기보다는 둘이 짝을 지어 한 유아가 책을 읽으며 다른 유아는 주의 깊게 들어보게 함으로써 유아들이 서로의 느낌을 공유해볼 수 있도록 한다. 교사는 교수학습방법이나 상호작용을 주기적으로 점검함으로써 자신의 준비와 행동이 영유아의 문제행동을 충분히 예방하고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