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아동생활지도의 개념

by 죤스 2022. 8. 9.
반응형

[아동생활지도의 개념]

 

  아동생활지도는 아동을 둘러싼 주변 생활영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상활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경험하는 부적응이나 문제 상황을 사전에 예방하거나, 미리 발견하여 치료하도록 도와주는 과정을 의미한다. 생활지도 과정을 통해 아동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도울 뿐만 아니라, 앞으로 발생 가능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길러 줄 수 있다.아동생활지도는 개별 아동들의 성장 및 발달을 극대화시키고 잠재적 능력을 개발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이런 측면에서 아동생활지도는 영유아교육현장에서 필수적인 교육영역의 한 분야로 볼 수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 훈육은 본보기가 되는 대상을 관찰하여 그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이며, 아동이 바람직한 행동을 하도록 이끌어 바로잡는 과정으로 간주된다. 생활지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훈육, 지도, 행동지도 등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으로는 훈육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었는데, 훈육(discipline)은 라틴어인'disciplina'에서 유래된 용어로 지시하거나 가르치는 것을 의미하고, 아동의 행동을 변화시키거나 통제하는 모든 행동이나 언어로 정의된다. 영유아는 권위나 통제에 순종하여 부모나 교사가 옳다고 생각하는 바를 따르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하였을 경우 벌이나 체벌을 통해 통제를 받았다. 이러한 전통적인 훈육의 의미는 아동발달심리 연구와 아동중심 사상이 확산됨에 따라 성인에 의한 훈육보다는 영유아 자신의 자율적인 자기통제에 의한 훈육 개념으로 수용되고 있어, '훈육'이라는 용어보다는'생활지도'라는 용어를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

  영어의'guidance'는'안내하다' '이끌어주다' '지도하다'의 의미가 있으며, 'guide'에서 유래되었다. 일반적으로 생활지도라는 개념은 지시, 안내, 지도, 관리, 조정 등의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다양한 의미를 가진 생활지도를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생활지도에 대한 정의는 학자들마다 매우 다르며, 먼저 외국 학자의 경우 셰르처와 스톤은 생활지도를 "개인이 자기 자신과 자신의 세계를 이해하는 데 돕는 과정"으로 정의했고, 밀러는 생활지도를 느리고 복잡한 방법으로 할수록 더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고 했다. 존스는 생활지도를 "현명한 선택과 적응을 위해 개인에게 제공되는 조력"을 뜻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개인의 선택은 타고나면 얻는 능력이 아니므로 지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생활지도란 현명한 선택, 문제해결, 또는 환경적응에 있어서 각 개인에게 주어지는 조력을 의미하고, 이는 각 개인의 선택이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민주적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러 학자들의 정의를 통합해볼 때, 생활지도란 개별 아동이 자기의 일상생활에서 당면하는 여러 가지 상황을 이해하고 이에 자율적으로 대처해나가는 능력을 길러줌으로써 건전하게 성장하고 발달하도록 돕는 과정이며, 생활지도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 있어 중요한 것은 다음의 세 가지 요소이다. 첫재, 생활지도는 아동 자신이 당면한 상황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도록 돕는다. 둘재, 생활지도는 아동이 당면한 사태에 대처함에 있어 타인에게 의존하기보다는 자율적,효율적, 창의적으로 해결하도록 돕는다. 셋재, 생활지도는 아동이 원만하고 성숙한 민주시민으로 성장하고 발달하도록 돕는다.

 

  아동생활지도는 아동이 긍정적인 행동을 하도록 돕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과 관련된 경우에는 영유아 스스로가 자신의 문제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영유아는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미성숙하고, 발달과정에 있으므로 생활 속에서 부딪히는 문제나 위기를 스스로 해결해나가기 어렵다. 따라서 부모와 교사는 아동이 문제를 바르게 인식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자들마다 생활지도의 의미를 다양하게 부여하고 있으나, 생활지도의 개념을 종합해보면 생활지도는 아동이 전 생애에 걸쳐 유용한 기술을 발달시키도록 돕는 과정이자, 아동의 성장 발달과 사회적 요구에 기초한 가르침이며, 자기이해를 돕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