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생활지도의 이론적 접근]
1. 정신분석학적 접근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의식수준에서의 경험만으로는 인간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으며, 오히려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 의식되지 않는 무의식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이다. 정신분석학적 접근에서는 인간의 본성을 정신결정론과 무 의식적 정신과정이라는 두 가지 개념으로 규정한다. 정신결정론이란, 인간의 모든 행동은 정신세계에 의해 결정됨을 이 미하고 무의식적 정신과정이란 인간의 모든 행동이 자신의 의지로 실행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전적으로 무의식적 과정의 지배를 받음을 뜻한다.
정신분석학의 창시자인 프로이트(Freud, 1856 ~ 1939년)는 모든 인간의 심리적 현상에는 원인이 있으며, 인간행동의 원인은 무의식에서 찾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의 정신세계를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구분하였는데, 의식은 지각·사고·추리 등과 같 이 개인이 의식하고 있는 정신작용을 의미하며, 무의식은 본능적 욕망, 꿈 등을 통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개인의 의지에 의해 쉽게 의식될 수 없는 정신작용에 해당한다. 정신분석학적 접근에서는 아동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 libide에 지배되는 무의식 과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정신세계에서 무의식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보았으며, 이러한 인간의 정신세계를 빙산에 비유하여 설명한다. 즉, 의식이 바다 위에 드러나 있는 빙산의 일각이라면, 무의식은 바다 속에 잠겨 있는 빙산의 거대한 부분에 해당 한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은 무의식 세계에 존재하는, 겉으로 드러나지 않으면서 통 제가 불가능한 어떠한 힘에 의해 지배받고 있다는 것이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구조를 원초아, 자아, 초자아로 구분하였다. 원초아는 성격의 가장 원초적인 부분으로서 생물학적 본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 가지 성격구조 중 가장 먼저 발달한다. 이러한 본능적 충동은 배고픔, 목마름, 졸음 등과 같이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생리적 동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심을 고려하지 않은 채 충동적이고 즉각적으로 이러한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려고 한다. 이처럼 원초아는 언 실세계와 접촉 없이 쾌락을 최대로 추구하고 고통을 최소로 추구하는 쾌락원리에 의해 지배된다. 성격구조의 두 번째 요소인 자아는 1~2세경에 원초아에서 발달하기 시작한다. 아동은 출생 후 성장하고 발달하는 과정에서 가족이나 주위사람들과 다양한 인간관 계를 형성하고 현실에 적응해나가는 방법을 학습하게 되므로 생후 초기처럼 본능에 따라 즉각적으로 욕구를 충족시키는 행동은 더 이상 용납되지 않음을 알게 된다. 자아의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아동은 자신의 욕구와 본능에 충실한 행동을 점차 자제 하고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행동을 수행함으로써 성인으로부터 인정받는 동시에 자신의 욕구를 충족하는 방향으로 행동을 조정한다. 따라서 자아는 원초아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도 초자아의 양심을 현실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현실원리를 추구 한다.
성격구조의 세 번째 요소인 초자아는 일반적으로 양심 또는 도덕성이라고 불린다. 초자아는 어떤 행위가 옳고 어떤 행위가 그른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아동의 성장 및 발달 과정 중 부모나 가족, 이웃, 학교, 또래 등과의 관계 속에서 자연스럽게 습득된다. 예를 들어 아동이 거짓말을 했을 때 아동이 거짓말을 하지 않도록 부모가 꾸중하거나 처벌하는 등의 방법으로 제재를 가하면, 아동은 그러한 행동이 옳지 않음을 알게 되므로 더 이상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이처럼 어떤 행동에 대한 가치 판단을 통해 아동은 자연스럽게 도덕성이나 양심을 형성하게 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부모나 교사가 특별히 처벌을 가하지 않아도 옳지 않은 행동을 하지 않는다.
프로이트는 성격구조 중 상대적으로 원초아의 세력이 지나치게 확장될 경우 정신병리적 현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초자아의 기능이 지나치게 강화되어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정신분석학에서는 본능과 양심을 적절히 충족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자아 기능의 강화에 중점을 둔다. 일반적으로 원초아와 초자아는 서로 상반된 목적을 추구하므로 본능적으로 작용하는 원초아와 이를 억제하려는 초자아 간에 긴장이 발생하고 자아가 이를 제대로 중재하지 못할 경우 불안을 느끼게 된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가 모든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현상이 아닐 수 있다는 문화적 편견과 성적 편견이 내재되어 있다는 점, 자유연상이나 꿈의 해석 등에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어 과학적 검증이 어렵다는 점, 그리고 아동발달에서 성적인 측면을 지나치게 강조했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프로이트는 주로 '인간의 의식 세계'에만 초점을 두었던 과거의 심리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무의식 세계'란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으며, 특히 교사나 부모가 겉으로 드러나는 아동의 외현적 행동에만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아동의 내면적 행동에도 관심을 가짐으로써 아동의 욕구체계나 동기 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아동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생활지도의 이론적 접근_ 행동주의적 접근 (0) | 2022.08.12 |
---|---|
아동생활지도의 이론적 접근_ 인본주의적 접근 (0) | 2022.08.12 |
아동생활지도의 기본원리 (0) | 2022.08.11 |
아동생활지도의 목표 (0) | 2022.08.11 |
아동생활지도의 필요성 (0) | 2022.08.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