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아동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_ 사회환경적 요인(형제자매)

by 죤스 2022. 8. 13.
반응형

3. 형제자매

 

  가정에서 형제자매관계는 동료로서, 그리고 효과적인 교사로서 상호호혜적인 영향을 미친다. 형제자매와의 경쟁 및 갈등의 경험은 대인관계의 기초를 이루는 협동, 갈 등, 경쟁의 원리를 학습하는 데 기여한다. 특히 형제자매는 안정감과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여 애착의 대상이 되며, 사회적 모델과 교사의 역할을 하는 등 서로에게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unn, 1985; Miller & Marayama, 1976)

  형제자매는 아동의 발달에서 부모와는 또 다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물이다. 최근 들어 출산율의 감소로 형제가 있는 가정보다 외동인 경우가 증가하고 있으나 많은 가정에서 아동은 형제자매와 함께 성장한다. 형제가 있는 경우에는 가족 내에서 자연스럽게 형제관계를 통해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된다.

 

  형제자매관계는 대인관계 중에서 가장 오래 지속되는 관계이며, 부모자녀관계와는 달리 상호적이며 평등한 관계이다. 형제관계에서는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를 모방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 며, 특히 동생이 형을 모방하는 정도가 더 강하다. 형제 간의 상호작용은 또래 집단 간의 상호작용과 상당히 유사하며, 빈번한 상호작용, 솔직한 정서표현, 서로에 대한 관심 표현이 이루 어진다.

 

  부모는 형제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데 부부관계가 원만하면 자녀의 형제관계도 원만한 경향이 있다.  형제관계는 친밀하면서도 동시에 갈등이 존재하는 관계이다. 특히 또래관계가 활성화되기 이전에는 형제관계가 또래관계보다 더 중요하다. 부모가 형제 중 어느 한쪽을 편애하거나 아동의 성격이 좀 더 자기중심적이라면 훨씬 더 경쟁적인 관계를 보일 것이다. 형제 간의 경쟁적인 관계는 상호적 관계보다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형제들은 때로는 경쟁하고 질투하며, 미워하는 부정적인 감정을 가지는 애매모호한 관계이다.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며 다정하게 지내기도 하지만 희생, 양보, 이해의 긍정적인 감정도 가진다. 대부분의 부모는 둘째가 태어날 경우 많은 시간을 태어난 아기와 보내며 애정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자연스럽게 맏이에게 보이던 관심과 애정이 감소하며, 이러한 변화로 인해 형제 간의 경쟁심이 유발된다.

 

  형제 간의 경쟁행동은 이성의 형제든 동성의 형제든 상당히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며, 나이 차이가 적을수록 심한 편이다. 동생이 태어나면 형의 입지가 전보다 더 좁아지면서 부모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한다. 경쟁적인 행동은 공격적인 행동이나 퇴행행동으로 표출된다. 공격적 행동은 종종 손위 형제가 주로 동생을 때리고 꼬집으면서 적대감을 보이는 행동으로 나타낸다. 퇴행행동은 컵으로 우유를 마시던 아이가 동생처럼 우유병으로 먹겠다고 떼를 쓰기도 하고, 아기 같은 발음을 하며, 어리광을 부리는 등 부모의 애정을 되찾으려는 무의식적 의도에서 나타난다. (권민균 외, 2012)

 

  손위 형제는 부모를 대신해 동생을 돌보는 역할을 하고, 동생은 형에게 애착을 형성한다. 놀이 상대로서 서로를 좋아하는 긍정적 측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자녀의 성별이 동성일 경우, 형제나 자매 관계의 사이가 더 좋으며 더 친밀한 경향을 보인다. 형은 동생보다 발달적으로 앞서기 때문에 놀이를 하는 동안 좋은 모델이 되기도 하고, 가르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동생이 형을 모방하고 형의 행동을 학습하면서 동생의 인지적 능력이 발달한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