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동학

아동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_ 개인적 요인(기질)

by 죤스 2022. 8. 12.
반응형

아동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개인적 요인]

 

1. 기질

 

기질은 외부환경의 자극에 대한 개인의 정서적 반응의 질과 강도에서 안정적으로 고 타나는 개인차를 의미한다. 즉, 기질은 출생 직후부터 나타나는 개인의 안정되고 이 관된 특성이자 환경에 대해 예측된 방식으로 반응하는 개인적 경향을 뜻한다. (Caspi & Silva, 1995)

기질은 출생 이후 1년 동안 형성되는 발달적 특성으로 성격 형성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영유아는 기질에 따라 상이한 행동특성을 보이며 이러한 영 유아의 기질유형을 토마스와 체스(Thomas & Chess, 1977)는 순한 기질, 까다로운 기질, 반응 이 느린 기질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1) 순한 기질

첫 번째 유형은 순한 기질의 아동(easy child)이다. 수유, 배설, 수면 등의 일상생활습관이 규칙적이면서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높다. 새로운 경험에도 쉽게 적응하고 낯선 사람에게도 미소로 반응하고 쉽게 접근하며 대체로 안정적이면서 행복한 정서가 주로 나타난다.

 

2) 까다로운 기질

두 번째 유형은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difficult child)이다. 수유, 배설, 수면 등의 일상생활 습관이 불규칙적이고 새로운 경험에 대해 쉽게 적응하지 못하며, 주로 낯선 환경에 처하면 울음이나 저항 등의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다. 낯선 사람을 보면 피하고 울거나 새로운 음식을 주면 뱉어내는 등의 민감하고 적대적인 반응을 보인다.

 

*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 양육법

① 아이의 욕구와 바람을 인정해준다.

② 현재의 상황을 인식시킨다.

③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 유아의 경우, 스스로 대안을 선택하게 함 (개방적 질문을 통해)

④ 마지막 선택을 제시한다.

 

반응이 느린 기질

세 번째 유형은 반응이 느린 아동 slow to warm up child이다. 활동성이 떨어지고 환경의 변 화에 대한 반응이 느리며 낯선 사람이나 새로운 사물에 적응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 린다. 성미가 까다로운 점이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과 유사하지만, 까다로운 기질의 아동과는 달리 새로운 환경에 대한 반응이 적대적인 수준은 아니고, 새로운 음식을 주면 뱉어내지는 않는 등 새로운 자극에 약한 강도의 반응을 보인다.

 

*  반응이 느린 기질의 아동 양육법: 자존감이 훼손되지 않도록 주의.

 

이처럼 기질의 유형에 따라 영유아의 행동은 다르게 나타나며 개별 영유아의 기질 유형을 파악하여 이에 적합한 양육행동을 제공함으로써 영유아의 발달과 적응을 도 울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까다로운 기질의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양육에 어려움 을 겪게 되고 자녀 역시 반응적이고 온정적인 양육을 제공받지 못한다. 까다로운 기 질의 아동이 보이는 불규칙적인 생활방식과 화를 잘 내고 공격적인 성향으로 부모는 정신적·신체적으로 무력감을 느끼게 되고 자녀에게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한 양육 행동을 보인다. 이 경우 부모가 미리 자녀의 기질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까다로운 기 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에 적절한 양육행동을 취함으로써 원만한 부모자녀 관계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에게도 사전에 자녀의 기질 특성을 알리 고 이에 적절한 반응을 해주도록 요청함으로써 가정과 유아교육기관 모두 아동의 생 활지도 시 기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이소은 외, 아동생활지도, (주)교문사, 2013.

반응형

댓글